조문 예절 바로 알기
20~30대 에게 조문은 익숙하지 않아서 따로 조문예절에 대한 상식을 잘 모를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조문가기 전에 미리 알아두고 가는게 좋겠죠.
장례식 가기 전 준비사항
조문 예절, 장례식 예절 (출처 : 대학내일20대연구소)
1. 장례식 복장
1) 검은색 정장이 기본, 없을 때는 무채색 계열의 어두운 옷으로
2) 외투나 모자는 장례식장 들어가기 전에 벗는 것이 예의, 추운 겨울에는 코트정도는 입어도 무관
3) 지나치게 화려한 악세사리는 피하기
4) 양말이나 스타킹이 없을 때는 당황하지 말고 장례식장에서 구입
조문 예절, 장례식 예절 (출처 : 대학내일20대연구소)
조문 예절, 장례식 예절 (출처 : 대학내일20대연구소)
조문 예절, 장례식 예절 (출처 : 대학내일20대연구소)
2. 부의금 봉투
1) 부의 : 상을 치루고 있는 곳에 보내는 물품이라는 뜻
2) 근조 : 죽음에 대해 슬퍼하고 있다는 뜻
3) 추모 : 돌아가신 분을 그리며 생각한다는 뜻
4) 추도 : 돌아가신 분을 생각하며 슬퍼하고 있다는 뜻
5) 애도 : 죽음에 대해 슬퍼하고 있다는 뜻
6) 위령 : 돌아가신 분의 영혼을 위로하고 있다는 뜻
조문 예절, 장례식 예절 (출처 : 대학내일20대연구소)
조문 예절, 장례식 예절 (출처 : 대학내일20대연구소)
조문순서
조문 예절, 장례식 예절 (출처 : 대학내일20대연구소)
1. 분향 혹은 헌화
1) 빈소에 들어가서 상주에게 가벼운 목례 후, 분양 혹은 헌화를 한다.
2) 단체로 왔을 경우, 대표로 한명만 분향 혹은 헌화를 하는게 좋다.
조문 예절, 장례식 예절 (출처 : 대학내일20대연구소)
조문 예절, 장례식 예절 (출처 : 대학내일20대연구소)
조문 예절, 장례식 예절 (출처 : 대학내일20대연구소)
2. 조문 절차
1) 영좌에서 물러나와 상주와 맞절한다. 종교적인 이유로 맞절을 못한다면 정중히 목례만 해도 된다.
2) 절을 한 후에 간단한 인사말을 건네도 좋지만, 기본적으로 아무말 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인다.
3) 문상이 끝난 후에는 두세 걸음 뒤로 물러난 뒤 몸을 돌려 나오는 것이 예의
3. 유의사항
1) 상주, 상제에게 악수를 청하는 행동을 삼가고 인사는 목례로 대신한다.
2) 반가운 지인을 만나더라도 큰소리로 이름을 부르지 말아야 한다.
3) 유가족에게 계속 말을 시키거나 고인의 사망 원인을 상세히 묻는 것은 실례다.
4) 장례식장에서 술을 마실 때는 본인이 본인 잔을 채워서 마시는 것이 좋고 건배는 하지 않는다.
5) 과도한 음주 및 도박 행위는 삼가도록 한다.
위의 조문 예절을 참고하여 장례식장을 갈 때 올바른 예절을 가지고 조문하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