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이 몰랐던 사실

반응형

배달 요금 때문에 포장 주문만 합니다.

 

배달 경쟁이 치열해지면 당연히 배달료가 저렴해질 거라고 예상했는데 단합인지 뭔지 배달대행업체들계속해서 기본료를 인상하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배달 수요보다 배달업체 공급이 아직은 부족하기 때문인 것 같아요.

 

배달요금-오르는-이유
배달요금 오르는 이유

 

코로나 시기에 다양한 배달 앱으로 매출이 배달 쪽으로 몰리고 있는데 이제는 시켜 먹는 사람도 부담스럽습니다. 포장 주문이나 배달음식을 포기하는 사람들도 늘어나고 있죠.

 

이렇게 배달 요금이 계속 오르는 이유가 기본료 상승도 있지만 말도 안 되는 '할증요금제'를 계속 붙이네요.

 

우천 할증, 야간 할증, 기온 할증, 아파트 고층 할증 등, 다른 건 그렇다 치고 아파트 고층 할증은 뭔가요? 계단으로 오는 것도 아니고 엘리베이터 이용할 텐데. 시간을 잡아먹어서 그런가?ㅎㅎ

 

배달요금-오르는-이유
배달요금 오르는 이유

 

배달료는 지난 5년간 가파르게 올라 무려 2배가 인상되었습니다. 배달료 산정 거리 기준도 원래는 직선거리로 따졌는데 이제는 실거리 기준으로 바뀌었다고 하네요.

 

<기존 배달료 - 직선거리 기준>
- 500m 이내 : 3,000원
- 500m에서 1.5㎞까지 : 3,500원
- 1.5㎞ 초과 시 : 500m당 500원이 추가

<개편 배달료 - 내비게인션거리 기준>
- 675m 이내 : 3,000원
- 675m에서 1.9㎞까지 : 3,500원
- 1.9㎞ 초과 시 : 100m당 80원을 추가

 

배달료가 오르면 결국 자영업자가 부담해야 되고 그 일부를 소비자에게 전가시킬 수밖에 없습니다. 메뉴 가격을 올리는 거죠. 뭐 소비자야 배달료 때문에 부담되면 주문을 안 하면 그만이지만, 자영업자들은 재료비, 인건비, 임대료, 중개 수수료 등 배달비 말고도 고정지출 비용이 있고 결국 적자가 쌓이는 구조가 되겠죠.

 

배달요금-오르는-이유
배달요금 오르는 이유

 

안 그래도 도로 위의 무법자 라이더들 때문에 운전할 때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데 교통법규나 좀 지키면서 자기들 권리를 챙겼으면 하네요. 

 

오르는 배달료 일부를 배달 앱 회사들이 부담한다는 말도 있지만 잠깐은 몰라도 언젠가는 업체와 소비자에게 그 비용을 전가하겠죠.

 

마음대로 기준을 정해서 올리지 못하게 공정거래를 위한 법안이 마련되었으면 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