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길, 블랙아이스 미리 대비하세요!
블랙아이스는 눈이나 비가 많이 올 때보다 훨씬 더 조심해야 하는 자연현상입니다. 눈에 잘 띄지 않지만 순식간에 핸들링이 안돼서 사고로 이어지는 원인이고, 방심하고 있다 사고가 나기 때문에 큰 사고로 이어질 확률이 높아요.
차를 자주 타다 보면 새벽에 안개가 꼈다가 갑자기 아침 기온이 뚝 떨어지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 가장 많이 생기는 현상입니다. 공기 중과 도로에 습기가 깔려있다가 증발하지 않고 그대로 얼어버리는 거죠.
이때 도로 상태를 육안으로 봐서는 얼어있는지 아닌지를 잘 판단하기 힘들고, 구간구간 얼어있는 곳이 있기 때문에 이미 이상하다고 느끼고 브레이크를 밟는 순간 미끄러집니다. 사륜구동도 블랙아이스 앞에서는 속수무책인 경우가 많죠.
저도 예전에 퇴근하다가 갑자기 기온이 떨어져서 이 현상을 겪은 적이 있는데 다행히 사고는 나지 않았지만 집까지 1시간 걸리는 거리는 4시간 걸린 적이 있습니다.ㅋㅋ
이 구간을 맞닥뜨리면 나뿐 아니라 다른 차들도 다 당황했다는 걸 알수 있어요. 조금만 브레이크를 잘못 밟아도 내 의지와 상관없이 엉뚱한 곳으로 미끄러집니다. 앞차가 미끄러지면 예상하죠. 아 저기서 나도 미끄러지겠구나.
속도 10km 이하로 엉금엉금 움직여서 겨우 탈출했는데 그나마 경사가 별로 없어서 가능했습니다. 도로가 얼었는데 경사가 심하다? 그냥 차를 버리고 가야겠더라고요. 갑자기 그러니까 제설차도 안 들어오고 차들이 막혀서 진입도 잘 안되고 그렇더라고요.
그럼 상습 결빙 구간을 확인하고 미리 대비하는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생활안전지도'라는 앱이 있는데 포털사이트에서 바로 접속해도 됩니다. 전 네이버에서 접속해 봤어요.
생활안전지도라고 검색하니까 생활안전정보 사이트로 들어가더라고요. 여러 가지 생활 전반 유용한 정보들이 많았습니다. 우리의 목적은 상습결빙구간을 확인하는 거라 우선 생활안전지도에 접속했습니다.
그럼 지도가 뜨고 하단에 선택할 수 있는 항목이 나오는데 교통을 눌러줍니다.
교통 하단에 또 여러 가지 메뉴들이 뜹니다. 거기서 상습결빙구간을 찾아서 눌러줍니다.
그럼 지도 상단에 상급 결빙구간이 선택되어 있다는 표시가 뜨면서 결빙구간들이 지도에 표시됩니다. 차가 미끄러지는 도로 표지판 아이콘이 뜨는데 빨간색은 시작 지점, 파란색은 종료지점을 뜻합니다.
결빙구간은 겨울철 기온이 급격하게 떨어질 때 시간상으로 아침 6시~10시 사이에 가장 많이 발생하니, 날씨를 잘 체크하고 좀 심상치 않다 싶을 때 결빙구간도 같이 확인해서 미리 조심해야 될 것 같아요.
앱을 깔아두면 더 편리할 것 같아요. 저도 이 기회에 깔아두었습니다.ㅎㅎ
빙판길 운전은 항상 조심하세요. 개인적으로 안개와 블랙아이스가 제일 무서운 것 같아요.
<겨울철 대비 자동차 관리법>
1. 냉각수 체크 (40,000km마다 체크)
2. 배터리 방전 대비(기온이 영하로 떨어지면 성능이 40% 정도 감소됨)
3. 타이어 마모상태 점검 공기압 함께 체크)
4. 등화장치 미리 점검(브레이크등, 전조등, 안개등 등)
5. 제동장치 미리 점검(브레이크 오일 상태, 패드의 마모 상태)
6. 와이퍼 동결 방지 (미리 11자로 세워두는 것을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