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이 몰랐던 사실

반응형

우리나라 미취업자 캥거루족

 

 

 캥거루족이란? 부모에게 경제적으로 의존하는 젊은 세대를 뜻합니다. 학교를 졸업하고 자립할 나이가 되었는데도 취업을 하지 않고 부모에게 경제적으로 기대어 살며, 일본에서는 20~30대의 캥거루족의 상당수가 40대가 될 때까지도 부모에게 의존하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이 같은 현상은 의외로 미국에서도 흔하다고 하네요. 10년 전에 비해서 부모와의 동거 비율이 매우 증가했고 예전에는 성인이 되어 독립을 못하면 좀 찌질한 취급을 받았는데 이제는 그렇지도 않다고 합니다.

 

캥거루족
캥거루족

 

 우리나라도 캥거루족이 점점 증가하고 있습니다. 통계청에 따르면 2020년 중장년층이 세대주인 1,129만 가구 중 자녀와 같이 사는 가구는 648만(57.4%) 정도로 나타났습니다. 만 19세 이상 자녀 506만 명 중 미취업 상태의 자녀는 245만 명 정도로 48.4%를 차지하는 걸로 조사되었습니다.

 

 그 중 30세 이상 자녀가 100만 명 정도 되는데 이들 중 미취업자가 32만 명 정도로 나타났다고 하네요. 거의 3명 중 1명이 백수라는건데.ㅎㅎ

 

 일자리 부족도 있지만 20대부터 취업을 못하고 연장선에 있는 사람들도 있고 번아웃이나 각종 스트레스 등으로 퇴사하고 재취업을 못하는 사람도 있을 겁니다.

 

캥거루족
캥거루족

 

저 같은 경우는 몸이 안 좋아서 퇴사를 하고 2년 정도 쉬었는데 확실히 몸은 많이 회복되었습니다. 하지만 재취업이 엄두가 안 나네요. 국가의 도움도 받고 부업도 하고는 있지만 미래가 불투명한 건 사실입니다.

 

부모와 독립하는 순간 돈을 모을 수 없는 사회 구조이고, 그래도 내 통장에 조금씩이라도 돈을 모으려면 새는 돈을 막아야 하죠. 근데 이것도 부모님의 여력이 될 때의 문제이지 또 막상 집안에 돈 한 푼 없고 여유가 전혀 없으면 내몰리듯 밖에서 무슨 일이든 할 수밖에 없습니다.

 

캥거루족이라면 좀 부정적으로 보고 언론에서도 프레임을 씌워 비자발적 백수가 부모에게 빌붙는다는 표현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뭐 사지 멀쩡해서 부모에게 진짜 빌붙는 사람도 있겠지만 실제로는 부모와 사이좋고 평범하게 지내면서 다음 페이지를 열심히 준비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캥거루족
캥거루족

 

그 사람들이 모두 부모에게 민폐나 끼치면서 사회원으로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인식을 심어주는 것도 좋지는 않습니다. 그로 인해 자존감이 더욱 낮아지고 우울증에 시달리며 눈치 보면서 사는 사람들도 늘어납니다.

 

그리고 우리나라 특징이 자녀들이 결혼 전에 독립하는 거 자체를 싫어하는 부모님들이 많죠. 특히 딸 가진 부모들은 더하고 저희 집도 모두 성인 자녀들이지만 외박하는 걸 매우 싫어합니다.ㅎㅎ

 

아무튼 블루칼라에 대한 대우도 그렇고 사회적 제도를 먼저 개선해야 되는 부분이 있습니다. 다들 공시에 매달리고 화이트칼라가 되지 않으면 큰일 나는 것처럼 살아왔으니까요.

 

미취업자들 파이팅입니다.

 

 

급체했을 때 푸는 지압법 & 급체 증상

급체했을 때 해결 방법을 알아보자. 피 보지 않고 급체를 푸는 법을 알려주는 영상을 소개해 드립니다! 급체했을 경우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광명을 찾아준다는 방법입니다. 100%라고는 확실할 수

true9.tistory.com

 

반응형
반응형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