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이 몰랐던 사실

반응형

재택근무 만족도 75%

 

코로나19 여파로 재택근무를 실시한 기업 중 75%가 근무방식에 만족하며 계속 시행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재택근무가 근무태만으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한 것을 뒤엎고 생산성에 별 차이가 없다고 판단했기 때문입니다.

 

재택근무-만족도
재택근무 만족도

 

이는 고용노동부에서 개최한 '2021년 고용영향평가 결과발표회'의 실태조사를 보니 대상 기업의 620군데 중 절반 이상(55.5%)이 재택근무를 처음 실시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대상 기업 표본은 근로자가 30명 이상이면서 시행률이 높은 제조·금융·정보통신 등 7개 업종의 620곳을 대상으로 한 것이라 신뢰도가 높아 보입니다.

 

코로나 확산세가 증가되면서 재택근무를 현재 수준으로 계속 시행하거나 축소는 하되 계속 시행할 것이라는 대답이 75.2%로 나타났고, 이들 중 상당수가 생산성에 별 차이가 없다고 느껴서 재택근무에 긍정적이라고 대답했습니다.

 

재택근무-만족도
재택근무 만족도

 

재택근무는 고용 증가율에도 영향을 미쳤는데 재택근무 실시 기업이 그렇지 않은 기업보다 2~3% 높게 나타났고 아이가 있는 가정의 근로자에게 매우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뭐 당연한 얘기죠.

 

미취학 아동이나 방학을 맞이하는 청소년이 있을 경우 집에 부모 중 한 사람이 있는 것만으로도 안정적인 가정생활을 영위하는데 굉장히 도움이 됩니다.

 

이를 위해서 기업의 IT 인프라 지원이 중요하죠. 중소기업이 재택근무를 하고 싶어도 못하는 이유가 사무환경 자체가 폐쇄적인 것도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그 근간에는 직원들이 눈앞에 있어야 일을 한다는 고리타분한 생각도 한몫하고 있죠.

 

재택근무-만족도
재택근무 만족도

 

근로자 입장에서 재택근무의 가장 큰 장점은 출퇴근 시간을 아낄 수 있는 겁니다. 보통 대중교통을 이용하거나 자차로 회사에 출근하는 경우 앞뒤로 1시간 이상은 허비하게 되죠. 그 시간에 딱히 뭘 할 수있는 것도 아니고 스트레스만 듬뿍 받습니다.

 

이제 우리나라도 업무환경이 계속 변화하고 있고 탄력근무나 유연근무로 변화하는 직장도 많으니 이런 변화에 같이 적응을 해나가야 할 것 같아요. 물론 장단점이 있겠지만요.

반응형
반응형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