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블빠인 저는 지금까지 개봉한 마블 영화를 아이언맨 1편부터 하나도 빠짐없이 영화관에서 관람했습니다. 하지만 이번에 기대한 이터널스가 일본이 원폭 피해자로 표현되는 것에 의문을 품고 자세한 내용이 나올 때까지 기다렸습니다.
하지만 정말이었네요. 뿌리 깊은 가해 국가가 자꾸 슬금슬금 피해자 코스프레 하면서 나대는 걸 보니 마블에 대한 실망도 큽니다. 각본가가 일본계 미국이던데 대놓고 입터는 바람에 그동안 쉴드치던 한국의 마블 팬들도 거하게 뒤통수를 맞았습니다.
원폭을 왜 맞았는지부터 반성하고 조용히 사과하면서 살아야 할 텐데 전범 학살 국가의 DNA는 어디 안 가나봅니다. 지들은 원폭도 안 쓰고 그보다 많은 사람들을 죽였으면서 감히 '제노사이드'란 말을 거론하면서 피코질을 하는지...
제노사이드(genocide): 고의적으로 혹은 제도적으로 민족, 종족, 인종, 종교 집단의 전체나 일부를 제거하는 것으로서 학살의 한 형태
일본계 미국인 각본가 형제는 히로시마 원폭 투하를 인종말살에 비유하면서 비극이라고 합니다. 영화 흐름상 '인류에게 알려준 원자력 기술이 사람을 죽이는데 쓰인 것에 대한 슬픔이다.'라는 해설로 본 사람도 있는데 이 인터뷰로 그냥 일본이 피해국이고 슬픈 일이라서 넣었다고 확인사살해 줬습니다.
생긴 것도 일본 앞잡이같이 생겨서는 말 함부로 하네요.
일본의 주된 피해자 코스프레 방법이 '원폭 자체의 비극성'이라는 보편적 당위성을 내세워 원폭을 두 방이나 얻어맞은 것이 자업자득이었다는 2차대전기 일본의 행적 자체에 대한 비판을 사전 봉쇄시키는 것입니다. 음침하고 더러운 수법이죠.
저들의 말을 지나치게 곡해하는 거라는 사람들은 지난 역사를 되돌아보기 바랍니다. 오늘도 일본은 우리나라를 까내리려고 다방면에서 노력하고 있는데 너무 순진하고 안일한 태도가 아닐까요?
이터널스는 무식한 신념으로 영화에 개똥철학을 담으면 나오는 대표적인 망작이 될 것 같네요.
<일본계 미국인 각본가 인터뷰 발췌>
Kaz Firpo
이 영화는 인간들의 실험에 대한 영화다. 내가 만약 영원불멸의 존재라면 그동안 일어난 인간들의 업적과 더불어 크나큰 실패도 보아왔을 것이다. 이 장면은 첫 각본 드래프트 때부터 들어간 씬이었고 클로이 자오 감독이 끝까지 포함시켜야 한다고 하며 넣은 씬이다. 아마도 우리가 디즈니 영화에서 처음으로 이런 인종 말살에 대해 언급하고 다룬 영화일 것이다. 히로시마 폭격은 그런 맥락에서 넣었고 만약 캘리포니아의 한 공립학교에 간다면 반 전체가 호불호로 완전 갈릴 것이다. 반은 폭격을 찬성할 것이고 반은 절대 일어나서는 안 되는 것으로 말할 것이다. 잘한 것인지, 잘못한 것인지..폭격을 함으로써 보다 많은 사람들의 생명을 살린 것인지..일본계 미국인의 한 사람이고 가족은 일본에 사는 사람으로서 이것은 내 삶과 개인적인 역사에 있어서 큰 사건이다. 인간 비극을 무조건 피해서는 안될 것이다. 사람들이 이에 대해 생각하고 논의하고 다시는 일어나지 않도록 해야 하는 것이다. 비극을 폄하하거나 하는것이 아니다. 모든 인종과 다양한 연령대의 사람들이 우리가 행한 것들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 되는 것이다.
Ryan Firpo
이 영화는 현재를 배경으로 하지만 플래시백을 통해서 이터널스들의 가족으로서의 진화와 파괴를 다룬 것이다. 우리는 인류에게 있어서 큰 실패를 자행한 순간들을 가져오려 했다. 영원불멸의 이터널스들이 돌아다보면서 '인류가 갈 데까지 갔다. 우리는 더 이상 이들을 도울 수 없다"를 깨닫는 순간들을 가져오려 했다. 인류에게 잇어서는 크나큰 패러다임 쉬프트이다. 이터널스들의 시각을 통해 이제 인류가 더 이상 통제가 된다거나 도움을 받을 수 없는 지점에 다다렀음을 보여주는 장면이다.